전체 글
[Python] 디렉토리에서 원하는 파일목록 리스트로 가져오기
* 현재 디렉토리에서 모든 파일 리스트 반환 # -*-coding:utf-8-*- import os filelist_path = [] # 현재 디렉토리 경로 path = os.getcwd() # 리스트로 반환 filelist = os.listdir(path) *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반환하고 싶을 경우 # -*-coding:utf-8-*- import os filelist_path = [] # 현재 디렉토리 경로 path = os.getcwd() # 하위 디렉토리 경로 추가 지정 path += '\\low_diectory\\' # 디렉토리가 없을 경우 예외처리 try: filelist = os.listdir(path) except Exception as ex: print('%s -> No Dir..
[Linux] 리눅스 파일 내용만 삭제하기 - cat /dev/null
/dev/null 이란? - 리눅스 null 장치 파일이다. - 어떠한 작업의 출력내용을 보고 싶지 않을 때, 이곳으로 출력을 보내면 안보인다. 예를들어 많은 양의 로그를 저장하는 경우 /dev/null을 해당 파일에 덮음으로써 파일의 존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일의 내용만 지우고 다시 로그를 쌓을 수 있다. cat /dev/null > [파일명] + 로그파일이 시스템에서 사용중이라면 파일 삭제는 위험하기 때문에 내용만 비워주기 위해 사용한다.
[Python] print 함수 반환값 변수에 저장
from io import StringIO def return_print(*prt_str): io = StringIO() print(*prt_str, file=io, end="") return io.getvalue() str = return_print("print_value in variable") print(str) * 출력결과 => print_value in variable Excel 데이터를 가져와서 형식(.csv)에 맞춰줄 때 사용했다. - openpyxl 모듈을 사용해서 엑셀파일의 데이터를 Linux 서버안에 csv 파일로 만들어 줄 수 있었다. [Part of the code] paramiko를 통해 ssh를 접속해둔 상태이며, filelist_path는 엑셀 파일들의 리스트를 받는다. def..
CSV와 XLS(Excel)의 차이점
CSV (Comma-Separated Values) - 쉼표( , )로 구분된 값, 일반 텍스트 파일(ansi)이며 ASCII나 UTF-8로도 인코딩 되기도 한다. - 여러 응용프로그램에서 CSV파일을 읽을 수 있다. - 구분된 형식에 맞춰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기 때문에 각 셀에 대한 수식이나 그래프 같은 데이터와 형식이 포함되지 않는다. ex) 메모장에 위와 같이 입력 후 .csv 로 저장한 뒤, 엑셀로 열게 되면 어떤 느낌인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. 또한 엑셀 파일을 저장할 때 [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]를 선택하고 .csv 파일로 저장한 뒤, 메모장에서 열어보면 쉼표(,)로 구분지어 텍스트가 나타날 것이다. 하지만 .xls 파일을 메모장에서 열어보면 .xls 형식이기 때문에 제대로 읽어오지 못하는 ..
[CSS] 문자/문단 (text) 관련 속성
1. 간격 지정 1) letter-spacing - 문법 { letter-spacing: 수치 or normal } 2) word-spacing -문법 { word-spacing: 수치 or normal } - 예제 letter 간격 지정 : text1 class 글자 간격 지정 letter 간격 지정 : test2 class 글자 간격 지정 letter 간격 지정 : test3 class 단어 간격 지정1 letter 간격 지정 : test4 class 단어 간격 지정2 2. 문단 정렬 : text-align - 문법 { text-align: left or right or center or justify } ① left : 왼쪽 정렬 ② right : 오른쪽 정렬 ③ center : 가운데 정렬 ④ j..
[CSS] 글자 (font) 관련 속성
1. 글자체 속성 : font-family - 글꼴 종류를 지정하면서 값이 상속된다. { font-family : 궁서체, 'Malgun Gothic', cursive; } - 콤마로 구분해 왼쪽부터 글꼴을 지정하고, 없으면 다음 글꼴을 찾는다. - 글꼴 맨뒤에는 generic-family 하나를 지정해야 한다. - 띄어쓰기가 있는 글꼴이름은 따옴표로 감싼다. 1) family-name (font1, font2) - 글꼴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. - 띄어쓰기가 있는 font2는 쌍따옴표로 묶었다. (따옴표도 가능) 2) generic-family (font3, font4) - 글꼴 유형 ① serif : 명조 계열 글자체 ② sans-serif : 고딕 계열 글자체 ③ cursive : 손으로 쓴 듯한 필..
[CSS] CSS 선택자(Selector)
선택자(Selector)란? - 선택해주는 요소, 즉 특정 요소들을 선택하여 스타일을 적용 선택자의 종류 - 선택자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 1. 전체 선택자 (Universal Selector) - * 를 이용하여 HTML페이지 내부의 모든 태그를 선택 /* css */ * { margin: 0; text-decoration: none; } 문서안의 모든 요소를 읽어내려야 하기 때문에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. margin이나 padding값을 초기화하는 등 기본값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. 2. 태그 선택자 (Type Selector) - HTML의 요소를 선택 ( h1, p, table 등 ) /* css */ p { color: skyblue; } /* html */ 태그 선택자 실습 3. ..